대표적인 절세 계좌인 연금저축펀드와 IRP, 그리고 ISA에 대해 한번쯤 들어 보셨거나 현재 가입해서 자금을 투자하고 계신 분들이 계실 텐데 2025년부터 세제혜택이 줄어드는 것으로 개편되었죠. 이중과세라는 의견들도 많은데, 어떻게 개편이 되었고 투자금을 운용해야 할지 개미투자자 입장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ISA
투자가 답이다
제가 이런 절세계좌를 미리 알고, 또 미국주식을 미리 했더라면(코인빼고.. 코인은 안 되겠더라고요 멘탈이) 이미 이 글을 저기 어디 휴양지에서 쓰고 있었을 거예요. 엔비디아 하나만 했어도, 20년에만 했어도 10배 텐베거는 됐을 거예요.
코로나19전까지는 국내주식이건, 미국주식이건 주식하면 망하는줄 알았고 또 주위 가족들을 포함해 잘된 모습을 못 봤어요.
그러다가 월급쟁이로는 도저히 내가 원하는 노후생활이 어렵겠다 생각해서 20년부터 미국주식에 용돈을 모아 시작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이제는 뭐 또 IRP 계좌를 만들었고 집대출 때문에 해지(세금혜택 토해내고)를 했습니다.
현재는 연금저축펀드와 ISA계좌에서 미국 S&P500과 나스닥 추종 국내 ETF 만 조금씩 사서 모으고 있습니다.
물론 개별 미국주식은 따로 투자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율과 세금절세 혜택을 받기 위해 ISA와 연저펀(연금저축펀드)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연저펀과 ISA계좌를 사람들이 왜 추천하고 가입할까요? 그전에 이것들이 뭔지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연금저축펀드 특징
연금저축은 IRP와 마찬가지로 안정된 노후를 위해 운용되며, 투자한 금액을 55세 이후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습니다. 펀드, ETF, 리츠(부동산투자) 등의 상품에 투자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ETF에 투자합니다.
이번 세제개편으로 연금저축도 배당금에 15.4%의 세금이 따박따박 붙게 되었습니다.
ISA계좌 특징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일명 만능통장으로 이 하나의 통장에서 ETF, 펀드, ELS 등을 투자할 수 있고 개인의 자산을 늘리는데 목적이 있고 어려 금융상품에 편리하게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뭐 딴거 하지 말고 국내의 해외지수추종 ETF만 하시면 됩니다. 쓸데없는 거 하다가 손해 봅니다.
이번 개편으로 배당+매매차익 200만원 비과세에서 매매차익에만 200만 원 비과세로 개편되었고 배당금은 15.4% 과세가 됩니다.
결론적으로, 둘다 우리의 노후에 국민연금 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연금 공백을 메꿔 노후생활의 질을 높이고자 정부의 정책으로 만든 투자 계좌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니 근데 절세혜택은 왜줄인 걸까요? 목적하고 어긋나지 않나요?

그럼 IRP계좌는요?
보통 월급쟁이들이 퇴직을 하면 본인 IRP 통장 만들어오라고 하죠?
거기에 퇴직연금을 넣어주게 됩니다. 그러면 개인이 연금을 IRP계좌에서 계속 운영할 수 있는 거예요.
뭐 저처럼 목돈을 꼭 써야 하는 경우가 있으면 해지를 하게되지만 ㅠㅠ 어쨌든 운용을 할 수 있습니다. 근데 제가 IRP계좌를 안 만드는 이유는 한 가지입니다.
바로 위험자산(ETF, 주식형 펀드 등)과 안전자산(예금, 적금등)으로 투자 비율이 각각 70%와 30%로 나눠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미 투자의 맛을 알아버린(?) 저에게는 저 30%의 안전자산 투자가 오히려 투자가 아니고 손해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저는 현재도 연금저축과 ISA계좌만 있고, 또 수익률도 괜찮습니다(돈은 거의 못 넣었지만).
물론 건강보험 산정 시 자산으로 들어가지 않는 장점도 있으니 선택해서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결론 및 맺음말
절세계좌 해지?
그럼 이거 뭐 다 해지해야 하나 라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 그래도 아직까지 비과세 혜택이 남아있어요.
그리고 연금저축펀드는 400만 원까지, IRP는 연금저축펀드와 합쳐서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되기 때문에 이금액에 맞춰서 운영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ISA계좌는 200만 원 비과세 영역에서 수익실현을 하시던 하면 될 것 같고, 200만 원이 넘는 차익도 9.9% 분리과세하기 때문에 계속 들고 가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아직까지도 정부에서의 대책이 미흡한 상황이기 때문에 추이를 살펴보면서 추가 정책이 나오는 것을 유의하여 살펴봐야 하겠네요.
저는 아무리 그래도 국내주식 쪽으로는 투자를 삼가려고 합니다. 처음에 하다가 진짜.... 음 뭐 암튼 저는 미국주식과 ETF에 열심히 투자하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이 절세계좌를 조금이라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본 콘텐츠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법적 구속력도 없습니다. 투자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ISA계좌 만드는 이유와 절세 혜택 총정리 왜 미국주식만 했을까
ISA계좌 만드는 이유와 절세 혜택 총정리 왜 미국주식만 했을까
오늘은 해외 미국주식 투자만 했던 제가 ISA 계좌에 대해 알아보고 계좌를 개설해 보면서 알게 된 ISA상품의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어렵게만 느껴져서 지금까지 계좌 개설도 미
taketake5.tistory.com
ISA계좌 해외 ETF 투자 종목 비교 미국 S&P500 상품 매입 후기
ISA계좌 해외 ETF 투자 종목 비교 미국S&P500 상품 매입 후기
요즘 ISA 계좌 만들기가 절세혜택과 장기투자의 장점 때문에 붐이 일어서 많이들 이용하고 계십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ISA계좌 만드는 방법과 해외 ETF 장기투자 종목
taketake5.tistory.com
모멘텀 뜻 펀더멘탈 뜻과 차이점 주식투자 방법 장단점 요약정리
모멘텀 뜻 펀더멘탈 뜻과 차이점 주식투자 방법 장단점 요약정리
재테크로 특히 미국 주식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기업의 모멘텀과 펀더멘탈이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거에요. 오늘은 헷갈리는 모멘텀의 뜻과 펀더멘탈의 정의와 차이점, 그리고 이에 따른
taketake5.tistory.com
구글알리미 사용 설정 방법 메일로 원하는 미국주식 뉴스 정보 수집하기
구글알리미 사용 설정 방법 메일로 원하는 미국주식 뉴스 정보 수집하기
구글알리미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너무 많은 정보 속에서 내가 원하는 특정 키워드나 주제에 대한 정보를 바로바로 얻고 싶을 때 구글알리미를 사용해서 메일로 원하는 뉴스 정보를 받을 수 있
taketake5.tistory.com